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육아휴직과는 다르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근로시간을 줄여 아이 양육에 조금 더 신경을 쓸 수 있으며, 줄어든 근로시간만큼 월 급여도 줄어들게 됩니다.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그 방법과 근로시간을 1시간, 2시간 줄였을 경우 나의 급여를 얼마 받게 되는지 모의 계산을 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방법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기간은 1년 이내입니다.
다만,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근로자가 육아휴직 기간 중 사용하지 않은 기간이 있다면 그 기간을 더한 기간 이내로 합니다. 예를 들어 육아휴직을 6개월을 사용하였다면, 남은 6개월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 이렇게 합해서 총 1년 6개월의 기간 동안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각각 1년씩 사용가능합니다.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각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각각 1년씩 자녀의 수만큼 사용가능합니다.
.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각각 사용은 2019년 10월 1일 이후 육아 휴직 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하는 근로자부터 적용합니다. 그 이전에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육아휴직이 남아있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나누어 사용 가능합니다. 1회의 기간당 최소 3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사용 방법 | 육아휴직 1년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 |
육아휴직 6개월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 6개월 | |
1차 육아휴직 6개월 + 2차 육아휴직 6개월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 | |
육아휴직 1년 + 1차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3개월 + 2차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9개월 | |
1차~8차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각각 3개월씩 |
신청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시작하려는 날의 30일 전까지 신청하여야 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계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지급액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주 최초5시간분 {통상임금의 100%(상한액 200만원, 하한액 50만원) × 5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 + 나머지 근로시간단축분 {통상임금의 80%(상한액 150만원, 하한액 50만원)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 - 단축 후 소정근로시간 - 5) / 단축 전 소정근로시간} |
계산법이 무척이나 복잡해 보이는 데요, 정부사이트에서 급여를 자동으로 계산을 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위의 링크를 누르면 고용노동부에 제공하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를 모의 계산 하는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링크를 눌러 1시간 단축 근무 했을 시 또는 2시간 단축 근무 했을 시, 나의 급여를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급여가 300만원이고 하루 8시간씩 주 5회 일하는 직장인이 1시간 단축 근무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회사 지급액 3,000,000 x 35 / 40 = 2,625,000 정부 지급액 {(2,000,000(상한액)) x 5 / 40} + {(1,500,000(상한액)) x (40-35-5) / 40} = 250,000 + 0 = 250,000 총 2,875,000원이 됩니다. 또한 급여가 300만원이고 하루 8시간씩 주 5회 일하는 직장인이 2시간 단축 근무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회사 지급액 3,000,000 x 30 / 40 = 2,250,000 정부 지급액 {(2,000,000(상한액)) x 5 / 40} + {(1,500,000(상한액)) x (40-30-5) / 40} = 250,000 + 187,500 = 437,500 총 2,687,500원이 됩니다.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조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한 대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입니다. 다만, 단축개시예정일의 전날까지 해당 사업에서 계속 근로한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허용되지 않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 중의 근로시간은 1주에 15시간~35시간입니다
이렇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용이 가능하다면 나의 상황에 맞게 근무시간을 조절하여 육아와 직장생활의 균형을 잘 잡아 생활해 나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뿐만 아니라 육아휴직 및 육아휴직 시 급여를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눌러 모의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